목록학술활동/심야학당 (3)
만인만색 연구자 네트워크

1) 4.10(수) : 김효성(연대사업팀) "돌섬에서 발견한 시큼한 황금" | 제주감귤협동조합의 형성과 활동 - 참석인원 : 외부 2명, 내부 2명 2) 5.22(수) : 현수진(팟캐스트팀) "고려시대 취업시장에서 살아남기" | 고려시대 인재상의 형성과 변화 - 참석인원 : 외부 7명, 내부 3명 3) 6.12(수) : 이성호(시민강좌팀/콘텐츠기획출판팀) "신라시대 금수저와 흙수저의 기준이 대체 무엇이냐?" | 신라의 경위·외위제와 골품제 - 참석인원 : 외부 3명, 내부 3명 4) 7.10(수) : 김세림(시민강좌팀) "대화로 만들어가는 역사" | 구술사연구 방법과 경험 공유하기 - 참석인원 : 외부 11명, 내부 2명
1) "수많은 죽음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?" - 관동대학살에 관한 기억과 추모 : 김강산(만인만색 연구자 네트워크) ■ 일시 : 2018.3.14(수) 19:00-21:00 ■ 장소 : 서울시 시민청 동그라미방 2) "어서 와, 평양은 처음이지?" - 해방 직후 남한과 북한의 수도(首都) 계획과 건설과정 : 김태윤(만인만색 연구자 네트워크) ■ 일시 : 2018.4.11(수) 19:00-21:00 ■ 장소 : 서울시 시민청 동그라미방 3) "의병과 의적의 경계선은?" - 대한제국 말기 의병봉기와 화적집단의 동향 : 김헌주(만인만색 연구자 네트워크) ■ 일시 : 2018.5.9(수) 19:00-21:00 ■ 장소 : 서울시 NPO지원센터 받다(교육장2) 4) “굳이 장애로 역사를 말하는 심보는?” | 장..
'만인만색 심야학당'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. 연구자라면 누구나, 끝도 없이 이어지는 세미나, 발제가 때로 지겹고 부담스러울 때가 있습니다. 나도 한번쯤은 강단에 서서 내가 배우고 익힌 것을 남에게 가르쳐주고 싶다면, 만인만색이 그 자리를 만들어 드리겠습니다. 연구자라면 누구나 자신의 연구를 가르칠 기회를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. 배움은 서로 가르치는 일에서 시작된다는 것, '만인만색 심야학당'은 그러한 뜻에서 기획되었습니다. '만인만색 심야학당' 첫 시간은, 중산층 형성을 연구하고 계시는 만인만색 연구자 네트워크의 김재원 선생님께서 강의해주시겠습니다. 배움을 위한 가르침, 가르침을 위한 배움의 자리에 많은 분들이 함께 해주시면 좋겠습니다. 더불어 예정된 두 편의 강좌에도 연구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..